에코스 구독자님, 안녕하세요. 에코스의 수요일 뉴스레터가 도착했습니다. 💌 |
|
|
작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되었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금까지도 끝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우크라이나의 ‘카호우카 댐’이 붕괴되며 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흘러가고 있죠.
이번 전쟁으로 인하여 우크라이나 뿐만 아니라 러시아 역시 타격이 큽니다. 전쟁 이후, 미국과 유럽이 러시아에 대해 경제 제재를 하면서 러시아의 경제 성장률이 1.9% 감소하기도 하였으며, 러시아의 화폐인 루블화 역시 ‘똥값’으로 떨어지는 등 경제적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입니다. 빨리 끝날 것 같던 전쟁이 장기화 됨에 따라 그들의 상황은 더욱 나빠질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상식적으로 이러한 상황이면 다른 나라의 경우 지도자에 대한 지지율이 높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저 정도 경제실적이면 탄핵되어도 할 말이 없을 상황입니다. 그러나 러시아에선 다른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올해 4월 기준 80%의 지지율을 기록했습니다. 엄청난 수치이죠.
|
|
|
그렇다면 러시아 국민들은 왜 푸틴을 이렇게까지 맹렬히 지지할까요? 그리고 푸틴은 어떻게 러시아의 지도자가 되었을까요?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해 줄 책이 있습니다. 바로 국제정치학자 월터라쿼가 쓴 《푸티니즘》입니다.
저는 오늘 해당 도서를 기반으로 푸틴에 대한 소개와 푸틴이 초월적인 지지를 받는 이유, 장기 집권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하려 합니다. |
|
|
푸틴은 누구인가 👀
1952년생인 푸틴은 소련 시절 정보기관 KGB에서 근무했습니다. 그리고 소련 붕괴 이후, 정계에 진출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부시장직과 보리스 옐친 정권의 총리직을 역임했습니다. 그리고 2000년부터 2008년까지 대통령을 연임하였습니다. 이후 3연임 금지 조항에 따라 4년간 ‘잠시’ 총리로 물러납니다.
푸틴은 2012년 다시 대통령직에 올랐습니다. 2012년부터 임기가 6년으로 늘어난 그는 2018년 재선되어 현재 4번째 임기를 지내고 있습니다. 또한 푸틴은 2020년, 헌법을 개정하여 장기 집권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2024년 현 임기를 마친 뒤 대선의 출마해 승리한다면 6년 임기의 대통령을 두 차례 더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소련의 ‘스탈린’ 보다도 더 오래 권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푸틴은 어떻게 장기 집권을 할 수 있었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어떻게 초월적인 지지를 받게 되었을까요?
|
|
|
① 정치와 종교의 결합 🔔
푸틴의 장기 집권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선 러시아인들의 관념, 종교를 파악해야 합니다. 먼저, 러시아인의 대부분 믿는 종교는 ‘러시아 정교회’입니다. 러시아 정교회는 그리스도교의 한 종파로 볼 수 있으며, 러시아의 자치(自治) 종교 입니다.
✔️ 실제로 러시아의 크리스마스는 러시아 정교회의 교리에 따라 12월 25일이 아니라 1월 7일 입니다.
푸틴 행정부는 러시아 정교회를 러시아 민족주의를 자극하는 데 최고의 수단 중 하나로 활용했습니다. 러시아 정교회 지도자들은 “지금 러시아의 시련은 예수님의 시련과 같습니다. 우리 러시아는 유럽 및 미국 에게 멸시와 고난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우리 러시아는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고 세계를 구원시킬 것입니다” 등의 말씀을 전파하죠.
그러한 요소를 푸틴은 잘 파고들었습니다. 푸틴 역시 러시아 정교회의 말씀 내용을 기반으로 “러시아의 번영”을 슬로건으로 활용하여 정치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의 정치평론가이자 《푸티니즘》의 저자인 월터 라쿼는 “현재 러시아 정교회는 푸틴과 정권과 결합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 둘은 서로 상부상조 하고 있다”라고 평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푸틴은 러시아 정교회의 행사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러시아 정교회의 종교 지도자들과도 지속적으로 만나고 있습니다. 푸틴은 이러한 모습을 통해 국민들에게 정교회의 지지를 받는 정치인이라는 것을 꾸준히 강조하며 초월적인 인기를 받고 있는 것이죠.
|
|
|
② ‘부패와의 전쟁’을 시행한 푸틴 🥊
러시아는 소련의 해체 이후 개혁개방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개혁 개방 이후, 극소수의 민간인이 중대형 기업의 소유권을 가지게 되었고, 그들이 국가의 운영을 좌지우지 하게 되었습니다. 러시아에서는 민영화를 통해 부자가 된 그들을 ‘올리가르히’라고 부르는데, 올리가르히들은 막대한 경제적 이익으로 외국 시민권을 취득하고, 고가의 미술품을 투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그들은 막대한 돈으로 정치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기도 했습니다. 올리가르히들의 횡포가 계속되자 러시아 국민들은 분노하였으며 그 결과로 전직 소련시절의 군인, 첩보기간 KGB 출신들이 정치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당연하게도 러시아 국민들의 엄청난 지지를 받았고요. 앞서 푸틴이 KGB 출신인 것 기억하시나요? 푸틴 역시 그 인기를 발판 삼아 정치 활동을 이어갔고,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당선 이후, 2000년대 초반, 푸틴은 올리가르히들을 척결하고 그들의 부패를 바로잡는 모습을 꾸준히 미디어에 보여줬습니다. 국민들은 올리가르히를 때려잡는 푸틴에게 커다란 감동을 받았고, 그러한 결과로 푸틴은 집권 초기인 2000년 국민들로 부터 엄청난 지지를 받게됩니다.
|
|
|
③ 스트롱맨 💪🏻
2002년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극장에서 인질극 사건이 발생했을 때, 특수부원들이 테러를 진압하다가 130만명이 사망하였습니다. 그리고 2003년 ‘체첸 분리주의자 그룹’이 러시아의 베슬란 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을 인질로 잡은 사건도 있었죠. 베슬란 인질 사건의 경우 인질 1,200명 중 300명이 사망하였습니다.
두 차레의 테러 이후, 러시아 국민들은 커다란 충격에 빠졌습니다. 이후 푸틴은 국민들에게 안전을 강조하며, 국민들에게 테러리즘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 테러에 대해 강경 대응 정책 기조를 선보이겠다고 약속합니다. 그리고 이후 푸틴은 강경한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 정책을 선보이며, 체첸 분리주의자 등 다양한 세력을 탄압했습니다. 이러한 모습을 본 러시아 국민들은 푸틴을 스트롱맨이며 우리를 지켜줄 지도자라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이죠.
|
|
|
④ 자원의 무기화 ⚡️
푸틴 정권은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을 기반으로 수출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사업으로 인해 2000년대 초 러시아는 건국 이래 엄청난 경제성장을 기록하게 됩니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이 취임한 2000년대 초기, 에너지사업으로 인하여, 2000년부터 2008년 까지 약 7%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당시 영국,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경제 6위를 성장하였습니다. ✔️ 구매력 평가 GDP 기준
엄청난 경제성장을 경험한 러시아 국민들은 푸틴을 열렬히 지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푸틴은 석유 및 천연가스를 통해 경제와 외교라는 두 가지 실리를 얻은 것으로 평가되고요.
즉, 푸틴은 종교, 부패와의 전쟁, 테러리즘, 자원의 무기화 등을 통해 장기집권을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
|
|
월터라커의 《푸티니즘》은 푸틴에 대한 분석 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역사, 문화, 정치 등을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그러므로 러시아의 '신(新)차르' 푸틴의 다양한 모습을 알고 싶다면, 혹은 러시아의 역사, 문화, 경제 등을 자세히 알고싶다면 월터 라쿼의 《푸티니즘》을 추천합니다. 500페이지가 넘는 책인 만큼 퀄리티가 매우 훌륭해요.
마지막으로, 부패한 러시아 시절 러시아 국민들의 마음 속에 새겨져 있던 러시아 대표 시인 푸시킨의 한 가지 경구를 소개하며 이번 글을 마치겠습니다.
“당신은 좋은 사람이오. 당신 형도 그렇고. 또 그런 분이 있기를 바랍니다. 우린 그런 이들의 의지로 이 상황을 타개해 나가야 할 겁니다.” |
|
|
국제시사연합ICAU 뉴스레터 에코스 Echoes
E-mail : icau.contact@gmail.com |
|
|
|
|